반응형

구매품 Modeling 중에서 종류에 따라 Part File이 하나로 구성된 것도 있지만,

실린더, 리니어 등 로봇 종류와 같이 복잡한 구매품들은 Assembly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Assembly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BOM 관리에 문제가 생깁니다.

오늘은 Assembly 형식의 Modeling을 BOM에서 하나의 구매품으로 표현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BOM 관리의 세가지 구조
  2. Assembly 형식의 구매품 Modeling의 문제점.
  3. Assembly 형식의 구매품 단일 품목으로 만드는 방법.

1. BOM 관리의 세가지 구조

"모형 데이터"는 하나의 Assembly안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을 표시합니다.
여기에서는 실제로 구매하지 않는 부품, 예를 들어 Bolt, 배선, 배관 등 조립의 이해를 돕기 위해 표현 해둔 모델링까지
표시가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모형 데이터"를 BOM List로 사용하는것을 권장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참조, 가상부품등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적", "부품만"의 데이터를 많이 활용하는데 두가지 또한 각각의
다른 특성이 있습니다.
"구조적" 은 Assembly안에 Sub Assembly가 있을 경우 데이터를 Sub Assembly에 맞게 구조적으로 표시합니다.
"부품만" 은 Sub Assembly가 있더라도 분류 하지않고 BOM LIST에 사용되는 모든 부픔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 부분은 2D 조립도에서 사용되는 BOM LIST, 품번 표기 등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으니
각 회사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주시기 바랍니다.


2. Assembly 형식의 구매품 Modeling의 문제점.

실린더 처럼 Assembly 구조의 Modeling을 구매품으로 사용하시다보면 ⓐ와 같이 [부품만] 관리창에서 구매품의 Part File까지 BOM으로 들어와 있습니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BOM LIST를 Inventor 에서 Excel로 이동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할 경우 Excel에서 구매품 마다 하나하나 직접 편집하여 사용했을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직접 편집을 해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설계 하기도 바쁜데 이러한 작은 문제들은 없애주는게 좋겠지요

이제 이러한 Assembly 형식의 모델링을 하나의 항목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 Assembly 형식의 구매품 단일 품목으로 만드는 방법.

1) 해당 Assembly파일을 열고 인벤터 상단에 메뉴에서 ⓐ[도구] → ⓑ[문서 설정].

2) 문서 설정 창에서 ⓒ[BOM] → ⓓ[기본 BOM 구조]를 구매품으로 설정하시면 끝입니다!!

※ BOM 구조 종류

일반 : 기본 구조로 Assembly 형식의 File일 경우 내부의 부품들이 상위 Assembly의 BOM에서 하나하나 다 표현됨.

분리불가부품 : 가공품에서 용접물과 같이 여러개의 Part File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나의 BOM으로 표현해야할 때 사용.

구매품 : 분리불가부품과 구매품은 사용 원리는 같다.

가상부품 : BOM 포함되지 않는 가상의 부품을 의미함.

참조 : 참조품 또한 BOM에 포함되지 않지만 나의 경험상 가상부품과의 차이점은 2D 도면에서의 차이점인것 같다.

가상부품은 2D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되지만, 참조품은 생략되거나 미리 정의된 참조품의 레이어로 설정됨.

 

반응형

+ Recent posts